Toggle navigation
  • 0
  • 연구원소개
    • 원장인사말
    • 설립취지/연혁
    • 추진사업
    • 조직과 사람들
    • 오시는길
  • 연구원활동 N 
    • 자유민주포럼
    • 연구원동정
    • 세미나/정책토론
    • 유동열의 남북진단
    • 해외사업
    • 방송출연 · 보도
    • 자유민주아카데미
    • 정책자료실
    • 언론보도
    • 유튜브채널
    • 자유민주 사상전
    • 유동열의 안보전선
  • 커뮤니티
    • 핫이슈
    • 공지사항
  • 참여
    • 자유게시판
  • 신고 및 신청창
    • 자유민주아카데미신청
    • 자유민주강연 신청
    • 국가정체성 훼손신고
  • 자유민주TV
  • 자유민주연구학회
    • 설립취지
    • 연혁
    • 추진사업
    • 임원
  • 사법정의실현 국민감시센터
  • 회원가입  |  정보찾기
ICON NAVIGATION
HOME 알림장 자유TV 1:1문의
SITE LINK

- 바른사회시민회의
- 헌법을 생각하는 변호사 모임
-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 조갑제닷컴

  • 현재 접속자 43 명
  • 오늘 방문자 442 명
  • 어제 방문자 583 명
  • 최대 방문자 3,887 명
  • 전체 방문자 1,207,795 명
  • 전체 게시물 1,845 개
  • 전체 댓글수 12 개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홈 > 연구원활동 > 언론보도
언론보도

최고관리자 "수사 무력, 안보 포기, 위헌 소지"… 전직 정보요원들 '국정원법 개정안' 성토대회 (뉴데일리)

최고관리자 0 359 2020.11.25 15:37

로고

 

"수사 무력, 안보 포기, 위헌 소지"… 전직 정보요원들 '국정원법 개정안' 성토대회

"경찰에 대공수사권 넘기는 건 안보 포기와 같아… 이대로면 대한민국은 간첩 천국 된다"

 

게제일자 : 2020.11.24.(화)

글 : 송원근 기자

원문기사 :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0/11/24/2020112400121.html

 

"대공수사권 경찰로 이관… 국가안보 위한 수사역량 사실상 무력화"

"현 집권세력, 국정원 해체를 민주주의 회복인 양 호도… 간첩천국 될 것"

"정치적 중립성 되레 떨어지는 경찰로 권한 집중… 정권 안위 목적일 수밖에"

"정보기관이 수사권도, 조사권도 없는 나라? 세네갈·파나마·에콰도르·콜롬비아 등"

"김대중·노무현 정부도 수사권만은 안 건드렸는데… 이대로면 사립탐정 수준 된다"

 

23일 서울 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국가정보원법 개정을 향해 이 같은 성토가 쏟아졌다.


국가정보원을 퇴직한 전직 정보요원들이 개최한 이날 국민대토론회에는 권영해 전 국가안전기획부장, 김승규 전 국가정보원장 등 전임 원장들도 참석해 국정원법 개악을 저지하겠다는 의지를 함께 다졌다.


'민주당의 국정원법 개정, 무엇을 위한 것인가'라는 제목의 이날 토론회는 2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다. 제1세션의 주제는 '더불어민주당 발의 국정원법 개정안의 문제점'으로, 발제는 황윤덕 전 국정원 안보기획관이 맡았다. 두 번째 세션 '국정원 대공수사권 폐지의 문제점'과 관련해서는 제성호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발제했다.


(중략)


"조사권-수사권 분리는 눈·귀와 팔·다리 떼어놓자는 것"

 

토론에 나선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은 경찰의 대공수사 능력의 한계를 거듭 강조했다. 유 원장은 "간첩활동을 탐지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비합법 공작도 불사해야 하는데, 경찰은 그에 필요한 예산 편성마저 불가능하다"며 "국정원에 조사권한만 줘도 된다는 것은 눈·귀와 팔·다리를 분리하자는 얘기"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토론에 나선 장석광 전 국가정보대학원 교수는 대공수사권 폐지를 "국가안보의 탈원전"이라고 비유했다. 장 전 교수는 "세계적 추세와 반대로 갔던 탈원전을 통해 국내 관련 산업 생태계가 붕괴했고, 세계 최고 원전기술력마저 훼손하고 있다"며 "9·11 테러 이후 전 세계가 해외정보와 국내보안 기능을 통합하는 추세인데 우리는 반대로 가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실상 조사권도 박탈하려는 것… 남미 국가 따라 하나"


장 전 교수는 "개정안은 안보목적 감청도 어렵게 해 사실상 국정원은 조사권도 박탈당한 것"이라며 "대외안보정보원(국가정보원의 개칭)은 수사권도, 조사권도 없는 유명무실한 기관"이라고 비판했다.


장 전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영국·독일·일본 등은 정보기관이 조사권만 있으며, 미국·중국·러시아·프랑스·이스라엘 등 52개 국은 수사권도 가졌다. 정보기관이 수사권과 조사권 모두 없는 나라는 대부분 남미 국가들로, 세네갈·파나마·에콰도르·콜롬비아와 이탈리아 등이다.


장 전 교수는 이와 관련 "우리 안보환경이 세네갈·파나마·이탈리아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국회의원이 있다면 한번 나와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정원 제대로 일하도록 해야… 정쟁에서 해방시켜달라"


이날 토론에는 신언 전 파키스탄 대사, 권영해 전 국가안전기획부장, 김승규 전 국정원장, 심재철 전 국회 부의장 등이 참석해 인사말과 축사를 전했다.


신언 전 대사는 인사말을 통해 "국정원은 더 이상 권력기관이 아니다. 정치적 일탈은 꿈도 꾸지 못한다"며 "이제 국정원이 제대로 일할 수 있도록 정쟁에서 해방시켜달라"고 호소했다.


심재철 전 부의장은 축사에서 "전직 직원들께서 나서기 쉽지 않았을 텐데, 이렇게 용기를 내준 것에 감사하다"며 "180석을 차지한 민주당은 뭐든지 다 하겠다는 태세다. 김정은이 가장 좋아할 일을 민주당이 서둘러서 하려고 한다"고 여권을 비난했다.

 

권영해 전 안기부장은 "책임 있는 사람들이 할 일을 여러분이 하게 해서 미안하다"며 전직 국정원 직원들을 독려하기도 했다.

 

관련타언론보도(1) :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38173

관련타언론보도(2) : http://www.lkp.news/news/article.html?no=11287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0 Comments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전 다음 목록
+더보기 핫이슈
New 공권력 절차위법(違法) 엄벌해야 하는 이유 (문화일보/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헌법학, 자유민주연구원 정책연구위원)
최고관리자 | 01.14
New [펜앤뉴스와의 대담] 제8차 당대회 및 김여정의 막말
최고관리자 | 01.14
  •  01.13 [유동열의 안보전선 181회]남북관계 개선 물건너 갔다 "제8차 당대회로 본 김정은의 적반하장격 대남인식"
  •  01.11 [유동열의 안보전선 180회]김여정 팽(烹)당했나? 당 정치국 후보위원 탈락한 김여정의 미래는!
  •  01.11 [유동열의 안보전선 179회]전광훈 목사와의 대담 (간첩이야기)
  •  01.08 北, 안철수에 “변절자의 예정된 말로는 낙선” (조선일보)
  •  01.07 [유동열의 안보전선 178회]넋나간 통일부, 북한 "당대회가 한반도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길"이라니
  •  01.07 ‘북한판 NSC’ 신설될 듯… 총책임자는 김여정 유력 (조선일보)
  •  01.06 대학 정보 노렸던 北 연계 해킹조직 ‘탈륨’, 다중 서버 통해 추적 회피 (주간동아)
  •  01.06 핵·미사일 언급 안한 金… 경제난 등 내부문제 우선 집중할듯 (문화일보)
  •  01.06 [유동열의 라이브 안보 브리핑 24회] 북 제8차 당대회 1일차 분석
  •  01.04 [유동열의 안보전선 177회]김정은 정권의 미래, 언제 붕괴될까?
+더보기 연구원동정
국가보안법 및 국정원 대공수사권을 폐지하려는 진짜 목적이 무엇인가?(문화일보 광고, 2020.11.20일자)
최고관리자 | 12.17
(동영상) 자유경제포럼 창립총회 및 창립세미나
최고관리자 | 12.07
  •  12.07 (동영상) 자유포럼 창립총회
  •  08.13 국정원 개혁 정책 토론회 참석
  •  08.05 대한민국 나라만들기 토론회 참석
  •  07.07 [행사] 미래한국 창간 18주년 기념...14기 편집위원회 개최
  •  06.26 [6.25전쟁 70주년] '김일성의 아이들' 영화 시사회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 이용안내 | 모바일 버전
자유민주연구원 - Korea Institute of Liberal Democracy. All rights reserved.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