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ggle navigation
  • 0
  • 연구원소개
    • 원장인사말
    • 설립취지/연혁
    • 추진사업
    • 조직과 사람들
    • 오시는길
  • 연구원활동 N 
    • 자유민주포럼
    • 연구원동정
    • 세미나/정책토론
    • 유동열의 남북진단
    • 해외사업
    • 방송출연 · 보도
    • 자유민주아카데미
    • 정책자료실
    • 언론보도
    • 유튜브채널
    • 자유민주 사상전
    • 유동열의 안보전선
  • 커뮤니티
    • 핫이슈
    • 공지사항
  • 참여
    • 자유게시판
  • 신고 및 신청창
    • 자유민주아카데미신청
    • 자유민주강연 신청
    • 국가정체성 훼손신고
  • 자유민주TV
  • 자유민주연구학회
    • 설립취지
    • 연혁
    • 추진사업
    • 임원
  • 사법정의실현 국민감시센터
  • 회원가입  |  정보찾기
ICON NAVIGATION
HOME 알림장 자유TV 1:1문의
SITE LINK

- 바른사회시민회의
- 헌법을 생각하는 변호사 모임
-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 조갑제닷컴

  • 현재 접속자 78 명
  • 오늘 방문자 742 명
  • 어제 방문자 956 명
  • 최대 방문자 3,887 명
  • 전체 방문자 856,793 명
  • 전체 게시물 1,647 개
  • 전체 댓글수 12 개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최고관리자 이번엔 최선희가 직접 나서 "볼턴은 멍청"(조선일보)

최고관리자 0 1079 2019.04.22 05:33

chosun.com

이번엔 최선희가 직접 나서 "볼턴은 멍청"



윤형준 기자, 입력 2019.04.22 03:00
원문 기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22/2019042200207.html

北 "폼페이오는 저질 인간" 이어 또 美 외교안보 라인 인신공격

북한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의 최근 인터뷰에 대해 "멍청해 보인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이틀 전 권정근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을 "저질적인 인간"으로 묘사한 데 이어 특정인을 콕 집어 원색 비난한 것이다. 하노이 회담 결렬 책임을 미국에 떠넘기며 차후 있을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볼턴 보좌관이 지난달 5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안경을 고쳐 쓰고 있는 모습.
북한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존 볼턴(왼쪽 사진)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해 "멍청해 보인다"고 비판했다. 사진은 볼턴 보좌관이 지난달 5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안경을 고쳐 쓰고 있는 모습. 북한은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오른쪽 사진) 미 국무장관에게도 "저질적인 인간"이라고 했다. /AP·로이터 연합뉴스

최선희가 겨냥한 건 볼턴 보좌관의 17일 블룸버그통신 인터뷰 내용이다. 당시 볼턴 보좌관은 "(3차 미·북 정상회담에 앞서)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려는 전략적 결정을 했다는 진정한 징후를 보고 싶다"며 "우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빅딜'에 대해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최선희는 "그래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라면 두 수뇌(정상)분들 사이에 제3차 수뇌 회담과 관련하여 어떤 취지의 대화가 오가는지 정도는 파악하고 말을 해도 해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계속 그런 식으로 사리 분별 없이 말하면 당신네한테 좋은 일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볼턴 보좌관이 언제 한번 이성적인 발언을 하리라고 기대한 바는 없다"며 그에 대한 불신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북한은 1차 미·북 정상회담 직전인 작년 5월에도 미 고위 인사를 연쇄 비판했다. 당시 외무성 제1 부상이던 김계관은 볼턴 보좌관을 향해 '인간쓰레기' '흡혈귀와 같은 자'라 했고 최선희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을 향해 '아둔한 얼뜨기'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이유로 미·북 정상회담 취소를 발표하자 북한은 "최근 벌어진 불미스러운 사태는 (미·북) 관계 개선을 위한 수뇌 상봉이 얼마나 절실히 필요한가를 그대로 보여준다"며 꼬리를 내렸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이번 북한의 비판은 작년 5월과 비슷하지만, 개인적 비난은 최대한 자제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맺은 관계는 강조하고 있다"며 "전술적 차원에서 비판은 했지만 '판을 깰 수는 없다'는 북한의 다급한 속내가 드러났다"고 했다.

북한 전문가들은 "앞으로 미·북 대화 구도를 유의미한 실무 협상 없이 김정은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정상 담판'으로 몰아가려는 의도"라고 풀이했다. 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은 "협상 구도를 유리하게 바꾸기 위한 '기 싸움' 차원으로 보인다"며 "협상 결렬 책임을 상대에게 돌리며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어보려는 의도"라고 했다.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은 "사실상 미국의 '대북 강경파' 배제를 대화 재개 조건으로 내건 셈"이라며 "내부적으론 외교 진용이 재편된 만큼 김정은에 대한 충성 경쟁 차원에서 강경한 언사를 쏟아내는 것"이라고 했다. 

한편 북한 노동신문은 21일 '위대한 당을 따라 총진격 앞으로'라는 제목의 정론에서 "오늘의 정세는 우리로 하여금 1956년의 그 나날을 돌이켜보게 한다"고 했다. 김일성이 동구권 순방 중 북한 내부 쿠데타 징후를 전해 듣 고 조기 귀국한 1956년 상황과 김정은의 '하노이 빈손 회담'을 유사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대북 소식통은 "당시 김일성은 중국과 소련이 쿠데타 세력을 배후 지원했다는 의심 아래 '자력갱생' 노선을 선포하고 '천리마 운동'을 시작했다"며 "북한의 몹시 어려운 국면 중 하나였던 1956년까지 언급한 건 그만큼 현 시국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0 Comments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전 다음 목록
+더보기 핫이슈
New [단독] 北 '노동신문' 유료화 해 불법 돈벌이… 文 정부는 까맣게 몰랐다(뉴데일리)
최고관리자 | 12.16
New 진실의 심판대에 선 ‘北비핵화 쇼’(이용준,문화일보)
최고관리자 | 12.16
  •  12.11 탈북민 강제북송 대책, 미국 정치권과의 공조 절실하다(옥지원,뉴데일리)
  •  12.10 강제북송 저지대책 TF 공동대표 취임
  •  12.09 미·북 다시 벼랑…北제재 다잡을 때다(조영기,문화일보)
  •  12.09 ‘성공한 선거 개입’은 쿠데타와 동일(최대권,문화일보)
  •  12.09 조선친선협회의 실체를 밝힌다 1 (리버티코리아포스트)
+더보기 연구원동정
강제북송 저지대책 TF 공동대표 취임
최고관리자 | 12.10
서울대 트루스 포럼 '조국 교수는 전향했는가?' 강연
최고관리자 | 12.04
  •  12.04 (동영상)귀순자 강제 북송의 후속조치 긴급토론회
  •  12.02 제3차 국민혁명정치학교 강연
  •  11.22 (동영상)자유한국당 공천 쇄신, 어떻게 할 것인가
  •  10.16 영화 장사리 단체관람
  •  08.08 KBS 수신료 거부 챌린지 동참(유동열)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 이용안내 | PC 버전
자유민주연구원 - Korea Institute of Liberal Democracy. All rights reserved.

Close